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바지락조개
- 조개잡는법
- 광어낚시
- aktwhro
- 떡조개
- 바지락조개잡는법
- 백합조개
- 개조개
- 맛조개 잡는곳
- 광어다운샷
- 동죽조개잡는법
- 맛조개 소금
- 해루질
- 조개잡이강좌
- 다운샷
- 바지락잡는법
- 문어잡는곳
- 낙지잡이
- 낙지잡는법
- 문어
- 주꾸미
- 맛조개 많이 잡히는곳
- 금속탐지동막
- 맛조개
- 청결한욕실
- 동죽조개
- 맛조개 잡는법
- 떡조개잡는법
- 백합조개잡는법
- 문어잡을수 있는곳
- Today
- Total
목록낙지잡이 (3)
태영의 해루질
낙지 잡이 강좌 - 7. 낙지의 양식 낚지는 양식이 가능할까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정답은 "되기는 하는데 완전하지는 못하다" 입니다. 10년전 지금 낙지의 주산지인 신안군의 갯뻘에는 워낙 많이 잡아대는 통에 낙지가 많이 나오지 않았나 봅니다. 그래서 2007년 강대용이란 분이 16년의 연구 끝에 낚지의 부화에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수조에 부화가 된 후 부화된 낙지들이 서로를 잡아 먹는 것이 었습니다. 갓 부화된 치어들이 서로를 잡아먹는 것을 "공식현상" 이라고 하는데 아무튼 이런 이유로 수조에서 계속 양식을 할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연구 끝에 발견한것이 부화 후 15일이 지나고나서 공식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공식현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넓은 바다에..
낙지잡이 강좌 - 5. 낙지가 사는 지형 오랫만에 강좌를 시작하네요. 전편에 이어서 낙지 잡이에 대한 강좌를 이어 가겠습니다. 낙지가 사는 지형은 어떤 곳일까요? 그것은 낙지의 습성을 생각하면 알수 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낙지는 야행성 입니다. 주간에는 어딘가 자기 몸을 숨길 만한 장소가 필요합니다. 자기의 몸을 숨기기에 좋은 지형이 바로 낙지가 사는 지형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1) 갯뻘 지형 갯뻘지형은 주로 서해와 남해안에서 많이 볼수 있습니다. 갯뻘에는 많은 미생물들과 유기물이 살고 있어서 이를 먹기 위해 2차 생물들이 많이 서식을 합니다. 주로 칠게,농게,갯지렁이 등이 갯뻘을 먹고 삽니다. 그리고 그 주변에 조개류들이 살고 있겠죠. 또한 이 조개류를 잡아먹기 위해 소라와 골뱅이 들이 살고 있습니..
낙지잡이 강좌 - 1. 낙지를 잡는 시기 이제 본격적으로 강좌를 시작 합니다. 낙지를 잡으러가기 전 알아야할 것중 하나가 바로 "언제 낙지를 잡을러 갈 것인가?" 입니다. 그동안 해루질 블러그를 운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문의한 내용 중 하나가 바로 "낙지는 언제 잡으러 가느냐?" 입니다. 사실 그에 따른 정답은 따로 없습니다. 다만 언제 가면 쉽게 잡을수 있다정도는 알려 드릴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어떤 방법으로 낙지를 잡느냐에 따라 낙지를 잡는 시기가 달라 지기 때문입니다. 낙지는 수온이 내려가는 초겨울이 되면 굴속으로 들어가서 동면을 시작 합니다. 대부분의 바다생물들은 통상 수온이 8도이하가 되면 이동을 하거나 겨울잠을 잡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낙지를 잡지 않는다고 생각을 하기 쉬운데 겨울..